주식 종목 「에코프로비엠」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신가요?
투자에 필요한 내용을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뒀습니다.
목차
01.「에코프로비엠」뭐하는 기업?

거래소 | 코스닥 |
종목코드 | 247540 |
섹터 | 에너지 섹터 > 2차전지 관련주 운송 섹터 > 전기차 관련주 |
「에코프로비엠」은 전기차, 전동공구, 전력저장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고용량 양극 소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에코프로 그룹 계열의 배터리 소재 기업입니다.
✪ 에코프로 그룹의 배터리 소재 사업부에서 분리되어 독립 법인으로 출범 (2016년)
✪ 보유 타이틀
- 전구체 및 양극재 일괄 양산 라인을 보유 (국내 유일)
- 하이니켈(High Nikel)계 초고용량 양극 소재 기술 개발 및 생산
✪ 주요 자회사
- 에코프로: 친환경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기업
- 에코프로이노베이션: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
- 에코프로에이피: 고품질 전구체 전문 생산업체
- 에코프로지이엠: 산업가스 생산업체
- 에코프로씨엔지: 글로벌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
02. 대주주 및 주요 주주
상장주식수 | 97,801,344 주 (약 9천 7백만 주) |
액면가 | 500원 |
1.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
- 최대주주: 에코프로 (45.58%)
- 특수관계인: 이동채 회장과 가족이 소유한 이룸티앤씨 (4.8%)
- 기타 특수관계인: 최문호 대표 등 일부 임원진이 소량의 지분 보유
2. 주요 기관 투자자
- 국민연금: 0.8%
- 기타 기관 투자자: 국내외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일부 지분 보유
3. 기타 주주
- 외국인 투자자: 1.78%
- 국내 기관 투자자: 포함된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율은 변동 가능
- 개인 및 기타 법인: 48.27%
- 자사주 지분율: 일부 임원진이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지급받아 보유
03. 주력 사업 & 주요 매출
주력 사업 |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 |
주요 매출 | EV용 양극재 전동공구(PT)용 양극재 ESS용 양극재 |
-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: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(EV), 전동공구(PT), 에너지저장장치(ESS) 등에 사용되는 고용량 하이니켈 양극재를 전문적으로 생산
- 글로벌 시장 확대: 유럽과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 및 공장 건설 추진
04. 보유 기술 | 인프라 | 브랜드 | 특허
🛠️ 보유 기술
-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: 에너지 밀도가 높은 하이니켈 양극재를 개발하여 전기차 배터리 성능 향상
- 단결정(Single Crystal) 기술: 세계 최초로 단결정 양극재 양산화 성공
- 코발트 저감형 양극재: 코발트 사용을 최소화한 NMX 모델 개발 중
-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: 고체 전해질 양산 라인 구축 계획 진행 중
⚙️ 보유 인프라
-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: 연간 108,000톤의 양극재 생산 가능
- 국내 양극재 생산 시설: 충북 오창에 대규모 생산 공장 운영
- 글로벌 연구개발(R&D) 센터: 배터리 소재 연구 및 신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소 운영
🌟 보유 브랜드
- ECOPRO BM: 하이니켈 양극재 분야 글로벌 1위 기술력과 생산체계를 갖춘 브랜드
- NMX & LMX: 코발트 저감형 및 망간 비율을 높인 차세대 양극재 브랜드
- LFP & Na-ion: 리튬인산철(LFP) 및 소듐이온(Na-ion) 배터리 소재 브랜드 개발 중
🎖️ 보유 특허
- KR 특허 포트폴리오: 총 143건의 특허 보유, 2022년 최고 출원 기록 28건
- 전고체 배터리 관련 특허: 고체 전해질 기술을 포함한 특허 출원 진행 중
- 양극 활물질 관련 특허: 리튬 이온 배터리 성능 향상을 위한 특허 보유
05. 실적 & 성과
매출액 | 2.7조 ~ 6.9조 |
영업이익 | -300억 ~ +4,000억 |
당기순이익 | -600억 ~ +3,000억 |
부채비율 | 119% ~ 173% |
PER, PBR, 영업이익률, 순이익률, ROE 등, 실시간으로 변동되거나 자세한 증권 정보가 필요하다면, 아래에 있는 ‘실시간 증권 정보 바로가기’를 통해 확인해보세요!
06. 주가 상승 재료
📈 대형 공급 계약 및 글로벌 확장
- 대형 공급 계약 체결 → 매출 및 수익 증가 → 주가 상승
- 신규 생산라인 가동 → 양극재 생산 확대 → 글로벌 공급망 강화 → 매출 및 수익 증가 → 주가 상승
※ BOSK(포드·SK온 JV) 등과의 대규모 공급 계약 체결: 2024~2026년 동안 32만 톤의 양극재를 공급할 예정이며, 고객사 내 점유율이 70% 이상으로 전망
※ 헝가리 및 미국 공장에서 양극재 생산을 확대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음
📈 실적 개선
주요 고객사와의 공급 계약 확대 + 실적 턴어라운드 → 매출 및 영업이익 개선 → 주가 상승
📈 전기차 시장의 성장
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 전기차 수요가 증가 → 배터리 소재 수요 증가 →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강화 → 주가 상승
📈 정부 정책 및 시장 환경 변화
-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→ 미국 내 배터리 소재 공급망 강화 → 수익성 강화 → 주가 상승
- 유럽 내 내연기관 규제 강화 → 전기차 전환 가속화 → 배터리 소재 수요 증가 →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강화 → 주가 상승
📈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
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→ 주가 상승 기대
📈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폭등 원인 분석(1만 원 → 58만 원)
① 전기차 시장 성장과 배터리 소재 수요 증가
- 글로벌 전기차(EV) 시장 확대로 인해 배터리 소재 수요가 급증하면서 에코프로비엠의 실적이 크게 개선됨
-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서,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의 공급 계약 확대가 주가 상승을 견인
②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수혜 + 미국의 중국 견제
- 미국 IRA 법안으로 인해 배터리 소재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 → 에코프로비엠이 미국 시장에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짐 → 투자자들의 매수세 유입
- 중국산 배터리 및 핵심 소재 사용 제한 정책 → 한국 배터리 소재 기업들의 반사이익
③ 대형 공급 계약 체결
- LG에너지솔루션, 삼성SDI, SK온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의 장기 공급 계약 체결
- BOSK(포드·SK온 JV)와의 대규모 계약으로 인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 확보
④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
-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하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
- 2차전지 산업이 미래 성장 산업으로 평가되면서 장기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
⑤ 공매도 숏커버링
- 공매도 세력들의 고점 공매도 물량의 손실 증가 → 손실 물량의 숏커버링 발생
⑥ 기술 개발 및 글로벌 확장
- 헝가리 및 미국 공장 증설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
- 전고체 배터리 및 코발트 저감형 양극재 개발로 인해 기술 경쟁력 강화
07. 리스크
📉 배터리 소재 시장의 경쟁 심화
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점유율 확대 + 가격 경쟁 심화 → 시장내 불확실성 증가 → 주가 하락
📉 경기 둔화
글로벌 경기 둔화 → 전기차 수요 감소 → 매출 및 수익 감소 → 주가 하락
📉 정부 규제 및 시장 환경 변화
-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→ 전기차 및 배터리 보조금 축소 → 한국 및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소재 수출이 제한될 가능성 증가 → 주가 하락
-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→ 세제 혜택 조정 → 수익성 악화 → 주가 하락
-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→ IRA 일부 조항의 조정/폐지 → 미국 내 친환경 산업 투자 감소 → 배터리 및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성장 전망 불확실 → 주가 하락
※ IRA는 청정에너지 및 배터리 생산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를 제공하지만, 일부 조항이 조정되거나 축소될 경우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음
※ 트럼프 행정부가 IRA 수정안을 발표하면서 전기차 보조금 폐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 및 주가 하락의 가능성 증가
📉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
-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 강화 → 주가 하락
📉 핵심 원자재(니켈, 코발트) 가격 상승
- 핵심 원자재(니켈, 코발트 등)의 가격 상승 → 고정비 증가 → 수익성 악화 → 주가 하락
📉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
2025년 트럼프발 미중 관세 전쟁 등으로 주식시장이 불안정한 시기를 겪고 있음
📉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하락 원인 분석(58만 원 → 9만 원)
①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의 고점 매도와 수익실현
-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2차전지주 대규모 매도 및 고점 수익 실현 → 2차전지 업종 전반적인 조정 → 주가하락
② 배터리 소재 시장 경쟁 심화
-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들의 점유율 확대로 인해 가격 경쟁이 심화됨
- 에코프로비엠의 삼원계 양극재 시장 점유율이 1위에서 6위로 급락하면서 시장 내 불확실성이 증가
③ 공매도 및 숏포지션 증가
- 공매도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주가 하락 압력이 커짐
- 숏커버링 이후에도 공매도 잔고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주가 하락 압력이 커짐
④ 글로벌 경기 둔화 및 정책 변화
- 미국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조정 가능성으로 인해 배터리 소재 기업들의 성장 전망이 불확실해짐
-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로 인해 배터리 소재 수요가 예상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
08. 관련 테마
「에코프로비엠」에 관련된 테마는 다음과 같습니다.
※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, 해당 테마에 관련된 다른 기업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세요!
테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(↓)에 있는 내용을 참고해보세요!
✪ 2차전지 관련 보유 기술
-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: 니켈 함량이 80% 이상인 초대용량·장수명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제조 기술 보유
- NCA 및 CSG 양극재 양산 기술: 국내에서 유일하게 NCA(니켈·코발트·알루미늄) 및 CSG(고안정성 소재) 양극재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 확보
- 코발트프리(Co-Free) 양극소재 개발: 중저가 보급형 코발트프리 양극소재 개발을 통해 시장 경쟁력 강화
- 전구체 합성 기술: 배터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구체 합성 기술을 보유하여 맞춤형 양극재 모델링 가능
✪ 2차전지 관련 성과
-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: 2023년 기준 양극재 출하량 글로벌 1위를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.
- 헝가리 및 북미 시장 진출: 2026년까지 유럽에 1조 1000억 원, 북미에 9000억 원 투자하여 해외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
- 삼성SDI 및 SK이노베이션과 대형 공급 계약 체결: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 장기 공급 계약을 맺으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 확보
✪ 전기차 관련 보유 기술
-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술: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원료 조달이 쉬운 나트륨이온 배터리 개발을 진행 중이며, 국내 자동차 업체와 협력하여 전기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음
-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: 니켈 함량이 높은 NCA(니켈·코발트·알루미늄) 및 NCM(니켈·코발트·망간) 양극재를 개발하여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향상
- 코발트 저감형 양극재: 코발트 사용을 최소화한 NMX 모델을 개발하여 원가 절감 및 친환경 배터리 생산을 추진
-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: 고체 전해질을 활용한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연구 중
✪ 전기차 관련 성과
- 전기차용 양극재 판매 증가: 2025년 1분기 전기차용 양극재 판매액이 5,03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76% 증가하며 실적 개선
- 헝가리 및 북미 시장 진출: 헝가리 공장 준공 및 인도네시아 통합법인 설립을 추진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
- 삼성SDI 및 SK이노베이션과 대형 공급 계약 체결: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 장기 공급 계약을 맺으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 확보
★「에너지 관련주」 더 알아보기
「에너지 관련주」에 해당되는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를 정리해서 모아두었습니다.
투자를 위해 활용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