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 종목 「삼성전자」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신가요?
투자에 필요한 내용을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뒀습니다.
목차
01.「삼성전자」뭐하는 기업?

거래소 | 코스피 |
종목코드 | 005930 |
섹터 | 반도체 섹터 > 반도체 관련주 IT, 통신, 기술 섹터 > 5G/6G 관련주 생활 섹터 > 생활가전 관련주 |
「삼성전자」는 반도체, 스마트폰, 디스플레이, 가전 제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삼성 그룹 계열의 글로벌 전자 기업입니다.
✪ 보유 타이틀
- 국내 최다 특허 보유 기업 (총 13만 4,802건의 특허를 등록)
- 세계 TV 시장 18년 연속 1위
- DRAM, NAND Flash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
- 스마트폰 시장 글로벌 1위 (갤럭시 시리즈)
✪ 주요 자회사
- 삼성디스플레이 (디스플레이 패널 제조)
- 삼성SDI (배터리 및 에너지 솔루션)
- 삼성전기 (전자부품 제조)
- 삼성SDS (IT 서비스 및 솔루션)
- 삼성메디슨 (의료기기 제조)
- 세메스 (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)
- 하만 인터내셔널 (프리미엄 오디오 및 전장 사업)
02. 대주주 및 주요 주주
상장주식수 | 5,919,637,922 주 (약 59억 2천만 주) |
액면가 | 100원 |
1.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
- 삼성생명보험 외 15인: 20.16%
- 삼성물산: 5.05%
- 홍라희: 1.66%
- 이재용: 1.65%
- 삼성화재해상보험: 1.49%
- 이부진: 0.81%
- 이서현: 0.80%
2. 주요 기관 투자자
- 국민연금: 7.3%
3. 기타 주주
- 외국인 투자자: 12.82%
- 국내 기관 투자자: 0.04%
- 개인 및 기타 법인: 75.75%
- 자사주 지분율: 0.5%
03. 주력 사업 & 주요 매출
주력 사업 | 디바이스 솔루션(DS) 부문 디바이스 경험(DX) 부문 전장 및 오디오 사업 부문 |
주요 매출 | 디바이스 솔루션(DS) 부문 디바이스 경험(DX) 부문 |
✪ 디바이스 솔루션(DS) 부문
- 반도체(메모리, 시스템LSI, 파운드리) 및 디스플레이 사업을 담당
✪ 디바이스 경험(DX) 부문
- 스마트폰(MX), TV(VD), 생활가전, 네트워크 사업을 포함
✪ 하만(전장 및 오디오 사업을 담당하는 삼성전자의 자회사)
- 오디오 브랜드: JBL, Harman Kardon, AKG 등 세계적인 오디오 브랜드를 보유
- 전장(자동차 전자 장비) 사업: 자동차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, 커넥티드 카 솔루션, ADAS(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) 개발
- 스마트 오디오 기술: AI 기반 음성 인식, 무선 스피커 및 사운드 시스템 연구
04. 보유 기술 | 인프라 | 브랜드 | 특허
🛠️ 보유 기술
- 반도체 기술: DRAM, NAND Flash, 시스템 반도체, 파운드리 기술.
- 디스플레이 기술: OLED, QD-OLED, 마이크로 LED.
- AI 및 클라우드: 온디바이스 AI, AI 반도체, 클라우드 컴퓨팅.
- 모바일 기술: 갤럭시 스마트폰, 폴더블 디스플레이, 5G 네트워크
⚙️ 보유 인프라
- 반도체 공장: 평택, 기흥, 화성, 미국 텍사스, 중국 시안.
- 디스플레이 공장: 아산, 중국 쑤저우.
- 연구소: 삼성리서치, 삼성반도체연구소, 글로벌 AI 연구센터
🌟 보유 브랜드
- 갤럭시(Galaxy): 스마트폰, 태블릿, 웨어러블 기기.
- 삼성 OLED: 디스플레이 패널 브랜드.
- 삼성 QLED: 프리미엄 TV 브랜드.
- 삼성 하만(Harman): 오디오 및 전장 사업 브랜드
🎖️ 보유 특허
- 총 13만 4,802건의 특허 등록 (국내 최다 특허 보유 기업)
-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: 고대역폭 메모리(HBM), QD-OLED 기술.
- AI 및 클라우드: 온디바이스 AI, AI 반도체 설계.
- 모바일 및 네트워크: 폴더블 디스플레이, 6G 기술 연구
05. 실적 & 성과
매출액 | 250조 ~ 320조 |
영업이익 | 6조 ~ 433조 |
당기순이익 | 15조 ~ 55조 |
부채비율 | 25% ~ 28% |
PER, PBR, 영업이익률, 순이익률, ROE 등, 실시간으로 변동되거나 자세한 증권 정보가 필요하다면, 아래에 있는 ‘실시간 증권 정보 바로가기’를 통해 확인해보세요!
06. 주가 상승 재료
📈 반도체 업황 회복
DRAM 및 NAND 플래시 가격이 상승 → 반도체 부문의 실적 개선 → 매출 및 수익 증가 → 주가 상승
📈 AI 반도체 시장 성장
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확장 → 고성능 메모리(HBM) 수요의 증가 → 매출 및 수익 증가 → 주가 상승
📈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 강화
3나노 공정 기술 도입 및 고객사 확대를 통한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상승 →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 → 매출 및 수익 증가 → 주가 상승
📈 자사주 매입 및 주주환원 정책
자사주 매입 (2025년,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) → 주가 방어 및 주가 상승
📈 배당 정책 유지
꾸준한 배당 지급 → 장기 투자자의 매수세 유입 + 주주가치 상승 → 주가 상승
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해소
미국 관세 불확실성 해소 (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 시점과 크기 등) → 투자 심리 개선 → 주가 상승
07. 리스크
📉 파운드리 사업 적자 지속
시스템LSI 및 위탁생산 부문에서 적자 지속 → 경쟁사인 TSMC와의 격차 발생 → 주가 하락
📉 반도체 업황 불확실성
DRAM 및 NAND 플래시 가격이 회복 중이지만,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 → 미래가치와 경쟁력에 대한 불확실성 → 주가 하락
📉 스마트폰 시장 둔화
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성장 둔화의 지속 →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 하락으로 인한 매도세 증가 → 주가 하락
📉 외국인 투자자 매도세
외국인 투자자들의 삼성전자 주식 대량 매도 → 주가 하락
📉 미국 관세 리스크
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 → 삼성전자의 글로벌 공급망에 타격 → 매출 및 수익 감소 → 주가 하락
📉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
2025년 트럼프발 미중 관세 전쟁 등으로 주식시장이 불안정한 시기를 겪고 있음
📉 2024.08 삼성전자 주가 급락 원인 분석 (88,000 원 → 49,900 원)
- 반도체 부문 문제: 메모리 경쟁 심화와 HBM(고대역폭 메모리) 납품 지연으로 인해 반도체 부문에서 수익성 악화
-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품질 및 점유율 문제: ①삼성전자(점유율 42.4%, 2위)는 HBM(고대역폭 메모리) 시장에서 SK하이닉스(점유율 52.5%, 1위)에 점유율 밀림 + 마이크론에 추격당하고 있음 ②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 못함
- 모바일 및 디바이스 부문: 글로벌 경기 침체와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해 스마트폰 및 전자 제품 판매 둔화
- 비용 증가: 연구개발(R&D) 투자 확대와 생산설비 확충으로 인해 비용 부담이 증가
- 대외 환경 악화: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AI 거품론으로 인한 투자 심리가 위축
- NVIDIA 블랙웰 출시 지연: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출시가 지연되면서 삼성전자의 HBM 사업 전망이 불확실해짐
- 외국인 투자자 대량 매도
08. 관련 테마
「삼성전자」에 관련된 테마는 다음과 같습니다.
※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, 해당 테마에 관련된 다른 기업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세요!
테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(↓)에 있는 내용을 참고해보세요!
✪ 메모리 반도체
- DRAM, NAND 플래시 등에서 세계적인 점유율을 보유
✪ 시스템 반도체
- 미국 오스틴의 시스템반도체(LSI) 전용라인을 보유
- 신규 시스템반도체 라인인 화성 17라인을 보유
✪ 파운드리 사업
- 3nm 이하 첨단 공정 기술을 개발하며, 글로벌 고객사 확보 중
✪ AI 반도체
- 고대역폭 메모리(HBM) 및 AI 서버용 반도체 개발
✪ HBM 시장 경쟁
- 엔비디아와 협력하며 HBM3E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, 향후 HBM4 개발 계획 진행 중
✪ 플래그십 스마트폰
- 갤럭시 S 시리즈, 갤럭시 Z 폴드·플립 시리즈 등 프리미엄 제품군 운영
✪ AI 스마트폰
- 갤럭시 S25 시리즈에 AI 기능을 탑재하며 스마트폰 혁신을 주도
✪ 폴더블 스마트폰
- 갤럭시 Z 폴드·플립 시리즈를 통해 폴더블 시장을 선도
✪ AI 연구 및 인프라 구축
- 삼성리서치 및 각 사업부의 AI 전담 조직을 통해 AI 기술 개발을 주도
- 약 300명 규모의 AI 크루를 운영하며, 사내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
-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하며, AI 기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 중
- 임직원을 대상으로 AI 교육 체계를 고도화하며,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
✪ AI 기반 제품 개발
- 갤럭시 AI를 통해 스마트폰, TV, 가전제품에 AI 기능을 접목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
- AI 기반 반도체 및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
- AI 기반 가전 및 스마트홈 솔루션 개발
✪ 5G-Advanced 기술 개발 및 6G 연구 표준화
- 기존 5G 성능을 강화하고 AI 적용을 추진하며, 6G로 진화하는 기반을 마련
- 삼성전자는 최근 6G 백서를 공개하며, AI 내재화 및 지속가능한 통신 기술을 연구 중
✪ 디지털 트윈 및 XR 기술
- 6G 시대에는 몰입형 확장 현실(XR), 디지털 트윈, 대규모 통신 등이 핵심 서비스로 부상할 전망
✪ 유비쿼터스 연결
- 지상망뿐만 아니라 항공망·위성망과 연동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영역을 확대할 계획
✪ 고정 무선 접속(FWA)
- 유선 대신 무선으로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 (6G 시대에도 지속 성장 전망)
✪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
-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로 올라서며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있음
- 삼성전자는 로봇 기술 기업 인수를 검토하며, 추가적인 M&A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
✪ AI 기반 로봇 연구
-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(RFM) 기술을 개발하며, AI를 활용한 로봇 자동화 연구를 진행 중
- 삼성전자는 AI 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홈 로봇 ‘볼리’ 출시 예정
✪ 비스포크 AI 콤보
- 세탁기와 건조기를 하나로 결합한 제품으로, AI 기반 세탁 성능을 강화
✪ 비스포크 AI 무풍콤보
- AI 기술을 적용한 에어컨으로, 무풍 기능과 자동 조절 기능을 제공
✪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키친핏 맥스
- AI 기반 냉장고로, 레시피 추천 및 식재료 관리 기능 포함
★「반도체 관련주」 더 알아보기
「반도체 관련주」에 해당되는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를 정리해서 모아두었습니다.
투자를 위해 활용해보세요!